전완의 신경
척골신경은 대부분의 신경섬유가 상완 신경얼기의 내측 신경학에서 기원한다.
처음에 자뼈신경은 액와동맥과 정맥 사이에서 시작하여 상완에 이른 후 상완동맥의 내측을 따라 주행한다. 위팔의 중간 부분에서 이 신경은 내측 근육 사이 격막을 뚫고 삼두근의 내측 머리 부분에서 위 척골 측부 동맥과 함께 주행한다. 상완의 아래쪽 1/3 부분에선 뒤쪽으로 주행하여 상완골의 내측상과와 주두 돌기 사이를 통과한다. 척골신경이 아래팔에 이르면, 척수건 굴근의 상완골 머리와 자뼈 머리 사이의 내측상과 뒤쪽에 있는 고랑을 지난다. 팔꿈치 윗부분에서 척골신경은 분지를 내지 않는다.
척골신경은 아래팔의 내측으로 하강하여 처음엔 척골 측부 인대를 지나고, 척수건 굴근의 깊숙한 곳에 있는 신수지 굴근 위쪽을 통과한다. 팔꿈치 부분에서 척골 신경과 척골 동맥은 상당히 떨어져서 주행하지만 아래팔의 아래쪽 2/3 부분에서는 근접하게 되며, 척골 동맥이 신경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척수건 굴근의 건 부분에서 척골 동맥과 신경은 외측 경계부를 통해 얕은 층으로 나와 피부와 근막 바로 아랫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두상 골의 외측에 있는 굴근 지대를 건너 손에 이르게 되는데, 특히 척골신경은 단수 장근의 아래층에서 두 개로 갈라져 천 종말 분지와 심 종말 분지를 낸다.
아래팔과 손에서 척골신경은 관절분지, 근육 분지, 손바닥 분지, 손등 분지, 얕은 종말 분지, 깊은 종말 분지, 혈관 분지를 낸다.
아주 미세한 관절분지는 팔꿈치의 경우 척골신경이 내측상과의 뒤쪽 부분을 주행할 때 갈라져 나오며, 손목의 경우에는 정말 분지를 내기 직전에 척골신경으로부터 직접 갈라져 나온다.
아래팔의 윗부분에서 신경분지는 척수건 굴근과 십수근 굴근의 내측 절반 부분으로 갈라져 나온다.
수장분지는 손목 위쪽 5~7cm 부분에서 시작되는데, 척골 동맥 근처를 따라 하강하다가 깊은 근막 위쪽의 피부에 분포하며, 내측 아래팔 피부 신경, 정중신경의 손바닥 가지와 연결된다. 수배 분지는 손목 위쪽 5~10cm 부분에서 시작되며 뒤쪽으로 주행하여 척수건 굴근의 건 깊숙한 부분에 위치하며 깊은 근막을 뚫고 손목의 손등 내측을 따라 계속 주행한다. 여기에서 이 신경가지는 손과 손등의 등 쪽 내측 부분의 피부에 분포하는 가지로 더 갈라진다. 일반적으로 두 개에서 세 개 정도의 배부 수지 신경 dl 있어 하나는 소지의 내측 부분으로 향하고, 두 번째는 더욱 갈라져 고유 배부 수지 신경이 된 후 새끼손가락과 네 번째 손가락에 분포하며, 마지막 가지는 네 번째 손가락과 내측 3개의 손가락에 분포하게 된다.
천 종말 분지는 단수 잠금에 신경 분지를 내고, 손바닥의 내측 부분의 피부에 신경 지배하며, 두 개의 바닥 쪽 손가락 신경질을 낸다. 그중 하나는 고유 수장 수지 신경으로 새끼손가락의 내측 부분에 분포하며, 나머지 하나는 총수장 수지 신경으로, 정중신경이 두 개의 고유 수장 수지 신경으로 갈라지기 직전에 갈라져 나온 같은 이름의 신경과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척골신경이 손가락의 1 부분을 신경 지배하지만 드물게 2 부분에 분포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는 정중신경과 요골신경이 분포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심 종말 분지는 소지 외전근과 소지 굴근의 사이를 지나며 가지를 내며, 소지 대립근을 뚫고 수지 굴근의 힘줄 뒷부분에 위치한 심수창 동맥 궁을 따라 주행한다. 손바닥에서 이 가지는 근육 가지를 세 번째, 네 번째 충 양건과 골간근에 내며 무지 내 전근, 그리고 종종 단무지 굴근의 깊은 머리에 가지를 뻗으면서 끝난다.
손바닥 근육들에 분포하는 신경의 분포영역 차이는 피부 신경의 분포 차이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이다. 이러한 신경 분포 영역의 차이는 척골 신경과 요골신경 사이에서 다양한 신경 연결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정중신경은 상완 신경얼기의 내측 신경근과 외측 신경근이 합쳐져서 형성된다.
정중신경은 상완동맥의 외측 부분을 통해 액화에서 상완에 이른다. 오훼상완근이 정지하는 부분에서 이 신경은 상완동맥을 타고서 내측으로 넘어와 계속해서 내측으로 주행하여 전주와의 이른다. 여기서 상완이 두건 막과 정중 전주 정맥의 뒤쪽에 위치하며, 상완근의 정지 부위와 팔꿈치의 앞쪽에 위치한다. 위팔에서는 정중신경의 가지가 하나 나타나 혈관에 분포하며 흔하지는 않지만 원예농협회 내근에 분포하기도 한다.
정중신경은 원형 회내근의 상완골 머리와 자뼈 머리 사이를 통해 아래팔에 도달하여 천 수지 굴근의 상완 자뼈 머리와 노뼈 머리 사이의 건막 궁 깊은 층으로 주행하며, 계속해서 이 근육과 신수지 굴근의 사이를 지난다. 아래팔에서 이 신경은 원예농협회 내근, 천 수지 굴근, 요수든 굴근, 장수 장근에 근육 가지를 내며, 주관절과 근위 요 척관 절에 관절 가지를 내기도 한다.
가장 긴 가지인 전골간신경은 동명의 동맥과 같이 주행하는데 장 무지 굴근과 신수지 굴근의 사이를 통해 골간 막의 전면을 따라 하강하여, 장 무지 굴근과 신수지 굴근의 사이를 통해 골간 막의 전면을 따라 하강하여, 장 무지 굴근과 신수지 굴근의 왼쪽 부분에 분포하고, 방형회내근의 아랫부분에서 원 위 요척골 관절, 요수근관절, 손목관절에 관절 가지를 낸다. 혈관 가지들은 자뼈 혈관과 전골 간 혈관, 자뼈와 노뼈의 영양 혈관에 신경 지배한다. 손바닥 가지는 굴근 지대의 위쪽 3~4cm 부분에서 시작되는데 굴근 지대를 넘어서 손바닥과 무지 구근의 내측 피부에 분포한다. 아래팔에서 정중신경과 척골신경은 종종 서로 연결되는데, 이 때문에 소에 신경 지배 영역에 이상이 생기기도 한다.
아래팔의 아래쪽 부분에서 정중신경은 장수 장근과 요수든 굴근의 건 사이에서 얕은 층으로 나온다. 정중신경은 수지 굴근 건과 함께 수근 굴을 통해 손바닥에 이르는데 수근 굴은 앞쪽으로는 굴근 지대, 뒤쪽으로는 손목뼈에 의해서 경계 지어진다. 손목뼈에서 빠져나온 후 정중신경은 여러 개의 근육 분지와 바닥 쪽 손가락 분지를 낸다. 근육 가지는 모지로 향하는 총수장 수지 신경에 근접한 부분에서 갈라져 나와 단무지 굴근을 통해 바깥쪽으로 주행한 후 단무지 외전근과 무지 대립근으로 갈라진다. 또한 첫 번째 배 측 골간근의 전부 또는 일부에 신경 지배하기도 한다. 아주 드문 경우이기는 하지만 수근 굴에서 근육 가지가 시작되어 굴근 지대를 뚫고 주행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임상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된다.
총 고유 수장 수지 신경은 신경의 시작 부위나 분포 부위에 있어서 무척 다양하다. 고유 수장 수지 신경은 등 쪽으로 아주 작은 가지를 내서 손가락의 외측 3 부분의 배 측 부분 피부에 신경 지배하지만 종종 2 부분에서 신경 지배를 나타내기도 한다. 두 번째 손가락의 노뼈 쪽 부분과 신경에 인접한 두 번째 세 번째 손가락에 분포하는 고유 수장 수지 신경은 운동신경섬유도 포함하고 있어 첫째, 둘째 충 양근에게 각각 운동신경 지배를 한다. 그러므로 수지 신경은 피부감각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 신경은 구심성, 원심성 체성신경과 자율신경섬유를 가지고 있으므로 감각신경 종말, 혈관, 땀샘, 입모근에 신경 자극을 보내거나 이들 구조로부터 신경 자극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