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관절부와 액와부
상지와 척주를 연결하는 근육들은 얇은 층에 위치한다. 여기에는 승모근, 광배근, 대 능형근, 소 능형근이 속한다. 이 근육들의 기신 부위는 척주이지만 신경 지배는 척수 긴 경의 배쪽 가지에 의해 받는다.
승모근은 대부분의 등과 목의 뒷부분을 차지하는 이 근육은 상항 선의 내측 1/3부분과 외측 후두 융기, 항인대, 제7 경추와 모든 등뼈의 극돌기, 그리고 그사이에 위치하는 극상 인대에서부터 시작된다. 마름모 형태로 근육이 축적되어 두꺼워진 아래쪽 목 부분과 위쪽 등뼈 부분을 제외하면 대체로 이 근육은 편평하며 얇은 형태로 나타난다. 근육 다발은 합쳐져서 어깨에 있는 뼈에 이어진다. 후두골과 위쪽 경추 부분에 위치하는 근육 다발은 쇄골의 뒤 외측 1/3 부분에 정지하고, 아래쪽 목등뼈 부위 분과 위쪽 등뼈 부분을 주행하는 근육 다발들은 견봉의 내측 경계부와 견갑 골 극 융기의 위쪽 경계부에 정지하며, 아래쪽 등뼈 부위에 있는 근육 다발들은 견갑 골 극의 결절에 정지한다. 승모근은 깊은 층, 얕은 층 모두에 걸쳐 목근 막의 얕은 층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승모근은 어깨뼈 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승모근의 위쪽 부분, 견갑거근, 전방 거 상근의 위쪽 부분이 약간 수축하는 경우에도 어깨를 지지하는 데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손이나 어깨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이 근육들은 최대한 수축하게 된다. 승모근의 위쪽 등뼈 부분이 강하게 수축하면 어깨는 뒤쪽으로 당겨지고 상완을 펴는 데 도움을 준다. 아래쪽, 또는 중간 부분은 모두 어깨를 위로 당기는 역할을 하며 특히 이중 가운데 부분은 상완의 외전을 돕는다. 어깨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승모근 아래쪽 부분, 전방 거 상근의 아래쪽 부분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 이러한 조합에 의해서 어깨는 회전운동과 어깨를 위로 올리는 운동이 가능해진다.
승모근을 지배하는 신경은 부신경과 제3 경신경의 앞쪽 가지에 의해 받는다. 부신경은 흉쇄유돌근을 지배하며, 이 근육을 관통하고 근막 아랫부분을 통해 목의 뒤 삼각을 가로질러 비스듬하게 주행하여 승모근의 깊은 층에 도달한다. 경신경에서 시작되는 신경과 더불어 부신경은 승모근의 깊은 쪽 부분에서 승모 근하 신경얼기를 형성한다.
승모근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은 쇄골 하동 맥에서 시작된 횡령 동맥이다. 또한 보조적으로 아래쪽 1/3에 해당하는 부분은 배 측 어깨뼈 동맥의 근육 관통 가지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는다.
넓은 삼각형을 띄는 광배근은 등의 아래쪽 부분에 위치한다. 이 근육은 주로 판상 인대를 형성하면서 아래쪽 여섯 개의 극돌기에서 시작되며, 흉 허리뼈 근막과 합쳐져 허리뼈와 천추의 극돌기에 부착된다. 승모근의 아래 외측 부분은 추가로 장골 융기의 뒤쪽 1/3과 아래쪽 3~4개의 늑골에서도 기신 한다. 견갑골의 아래쪽 각 외를 부분에서 매우 가는 근육 다발이 뒤 겨드랑이 주름의 아래쪽 부분에서 나선형으로 소, 대원근을 감고 돌아 상완골의 결절 사이 고랑에 정지한다.
승모근의 바로 아랫부분에는 견갑골의 내측 경계부에 연속적으로 정지하는 세 개의 근육이 있는데 운동, 신경 지배, 혈액 공급은 대체로 동일한데, 견갑거근과 소 능형근, 대 능형근이 바로 그것이다.
견갑거근은 두껍고 끝 모양의 이 견갑거근은 처음 세 개 또는 네 개의 경추의 횡돌기에서부터 네 개의 독립적인 건을 형성하며 시작된다. 이 근육의 정지 부위는 견갑골의 위쪽 각에서 견갑각에 이르는 내측 경계 부분이다. 이 근육은 부분적으로 흉쇄유돌근과 승모근과 겹쳐 경계가 불분명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소 능형근은 가느다란 항인대의 아래쪽 부분, 제7 경추와 제1흉추의 극돌기 및 이 부분에 존재하는 극 인대에서 기신 한다. 아래쪽에 위치한 대 능형근과 평행하게 아래 외측 부분으로 주행하여 견갑골의 견갑각 뿌리 부분에 정지한다.
편평한 대 능형근은 2~5번째 등뼈의 극돌기와 이 부분에 위치하는 극 인대에서부터 기신 한다. 비스듬하게 아래 외측 부분으로 주행한 후 역시 견갑골의 견갑각의 아래쪽 내측에 정지한다.
삼각근은 어깨를 덮는 주요한 근육이다. 이 근육은 어깨를 덮는 주요한 근육이다. 이 근육은 쇄골의 외측 1/3, 견부의 외측 경계부, 견갑각 융기의 외측 경계부에 이르는 반원형 시작부를 가지고 있다. 모든 근육섬유 다발은 합쳐져서 상완골의 삼 각 조 면에 정지한다.
삼각근은 상완골의 주요한 벌림근으로 이 운동은 주로 아주 강한 중앙 부분이 수축할 때 일어난다. 반면에 극상근은 근육 전체가 상완골의 외전 운동에 참여하며 거의 90도 이상의 운동을 유발한다. 삼각근의 운동도 는 점차 증가하여 팔을 90~180도 정도 들어 올렸을 때 최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