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등의 심부근육

by 무지개낙하산 2022. 7. 5.
심부 등 근육은 척추. 흉곽, 그리고 골반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크게 5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에 속하는 근육들로 판 상근, 척주기립근, 횡돌기극근, 극 간 근, 횡돌기 간 근이 있으며 이들은 척주를 중간층으로 하여 좌우 대칭적으로 분포한다,

판 상근은 이 근육보다 더 깊은 곳에 있는 근육들을 덮고 고정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7번째 경추골의 항인대, 7번째 경추골의 극돌기에서부터 6번째 등뼈의 극돌기에 걸쳐 기신 한다. 판 상근은 기능적으로 머리와 목을 뒤쪽으로 당기며, 얼굴을 근육이 수축하는 쪽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양쪽 판 상근이 동시에 수축하면 머리와 목 관절이 펴지게 된다. 신경 지배는 두 번째부터 다섯 번째 또는 여섯 번째 경신경의 뒤쪽 가지에 의해서 받으며, 이 근육의 바로 위쪽에는 승모근과 항 근막이 있어 판 상근을 덮고 있다. 판 상근이 유양돌기에 부착하는 부분은 흉 쇄요 돌 기근의 부착 부분보다 깊숙하게 위치하며, 척주기립근과 반극근 위쪽을 덮고 있다.

척주기립근은 복합적이고 부피가 큰 이 근육은 등에 있는 척추 늑골 고랑에 위치하며, 흉 허리뼈 근막 흥의 바로 안쪽에 분포한다. 이 근육은 넓고 아주 두꺼운 힘줄에서 시작되는데, 이 힘줄은 천골의 뒷면, 장골릉의 뒤쪽 부분, 허리뼈의 극돌기, 그리고 극돌기 인대에 부착되어 있다. 척주기립근을 구성하는 3개의 근육 다발들은 각각 밧줄 모양으로 연속되는 작은 근육 다발들은 각각 밧줄 모양으로 연속되는 작은 근육 다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작은 다발이 끝나는 부분에서 새로이 작은 다발이 시작된다. 한편 이 근육의 시작부와 부착부 사이에는 대체로 6~10개의 작은 다발 분절들이 반복해서 나타난다.

척주기립근은 척주에 걸쳐서 나타나며 작용하는 쪽의 척추관절을 구부리는 역할을 한다. 특히 두최장근은 머리 관절을 구부리며, 얼굴을 근육이 수축하는 방향으로 돌리는 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척주기립근은 몸통을 구부릴 때도 큰 작용을 나타내는데, 주로 중력이나 복부 근육에 의해서 몸통을 굽힐 때 구부리는 각도나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횡돌기극근에는 척주기립근의 안쪽 깊숙하게 위치하는 일련의 근육들이 포함된다. 이 근육의 대부분은 척추의 횡돌기에서 시작되어서 극돌기에 연결된다.

반극근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척주의 절반 길이를 차지하고 있으며, 흉부, 경부, 두부로 나누어진다.

흉반 극급과 경반 극급은 연속적인 층을 형성한다. 이들 근육은 모든 등뼈 횡돌기에서 시작해서 기신 부위의 흉추보다 4~6개 정도 상방 등뼈의 극돌기에 연결되며, 제2 경추의 극돌기에 두꺼운 근육 다발을 형성하면서 끝난다.

두반극근은 목의 뒤쪽 부분에서 가장 큰 근육으로 7번째 경추와 위쪽 6~7번째 등뼈의 횡돌기, 4~6번째 경추의 관절돌기에서 기신 한다. 내측으로 두극급의 근육섬유에 의해서 보강되어 결국 후두골의 상, 하 상선의 사이에 정지하며, 대부분의 경우 목 윗부분에서 불완전하기는 하지만 건 교차가 나타난다. 이 반극근은 강력하게 머리 관절을 펴는 역할을 하며, 경반 극급과 등반 극급은 위쪽 척주를 펴고, 척주를 반대쪽으로 회전시킨다. 신경 지배는 등의 위쪽 절반에 해당하는 척수신경의 뒤쪽 가지에 의해서 받는다.

다열근은 척주 전반에 걸쳐서 분포한다. 이 근육은 등뼈 부분에서 횡돌기에 부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횡돌기극근과 대체로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 목 부분에서 다열근은 관절돌기에 부착되며, 허리뼈 부분에서는 유두 돌기에 부착된다. 가장 아래쪽 근섬유들은 네 번째 경추에서 시작된다.

다열근의 작은 근육 다발은 시작한 부위에서 약 2~4개 위쪽의 척추뼈의 극돌기에 부착되며 마지막 허리뼈에서부터 제2 경추에 이르는 척주 전반에 걸쳐서 분포한다. 한편 허리뼈 부분에서 가장 두텁게 나타나며, 척주를 펴는 역할과 함께 일부 반대쪽으로 척주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신경 지배는 척수신경의 뒤쪽 가지에 의해서 받는다.

회선근은 횡돌기극근에 포함되는 근육 중 가장 짧은 근육으로 부착 부위는 다열근과 유사하며, 근섬유 다발은 인접하거나 또는 바로 위쪽의 척추골의 극돌기에 부착된다(각각의 길이에 따라 단 회선근, 장 회선근이라고 명명한다). 이 근육의 기능이나 신경 지배는 다열근과 일치한다.

등의 심부에 분포하는 작은 근육에는 늑간근, 횡돌기 간 근, 누가 거긴 이 포함된다. 극간근은 경추와 허리뼈의 인접한 극돌기 사이에 쌍을 이루어 짧은 근섬유 단으로 위치한다.

 

 

 

 

 

 

 

 

 

 

 

 

 

 

 

 

 

`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관절  (0) 2022.07.07
견관절부와 상완부의 골 및 관절  (0) 2022.07.06
상완신경총  (0) 2022.07.06
견관절부와 액와부  (0) 2022.07.06
척주와 골반  (0) 2022.07.06

댓글